[인터랙션 디자인 개념]
1. 정의
- 상호작용, 단방향 서비스가 아닌 서로 교류가 가능한 양방향 통신이나 서비스를 의미
- 최신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사람과 제품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방식으로 소통하는 디자인
- 단순히 디자인을 표현하기 위함이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성과 사용자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디자인
- 대표적인 인터랙션 디자인은 애니메이션 효과, 마이크로 인터랙션이 있음
2. UI/UX/IxD 비교
- UI 디자인은 UX디자인의 한 부분임
- UI : 사람과 기기 혹은 웹사이트 및 어플리케이션과 만드는 부분
- UI Design : 사람과 만나는 시스템의 외형과 화면구조, 버튼 모양을 설계하는 것
- 인터랙션 :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시스템을 이용하는 일련의 상호작용 /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능동적 인터랙션 / 음악이나 영상을 보는 수동적 인터랙션
- UX : 제품을 사용할 때의 사용자 경험과 이를 활용하기 위한 인터랙션 과정의 경험 / 제품, 서비스 그리고 콘텐츠를 사용하면서 느끼는 서비스 경험, 콘텐츠 경험을 포함
[인터랙션 디자인 요소]
1. 움직임Motion
- 상호작용이 나타남. 상호작용이란 특정한 방식의 커뮤니케이션이며, 이는 움직임을 통해 만들어짐
- 사용자들이 제품에 맞는 행동을 하도록 만듦
- 제품에 맞는 행동을 만들어 내도록 이를 주의 깊게 디자인해야 함.
- 움직임은 사용자의 태도, 문화 개인적 특성과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. 따라서 다양한 상황을 이해하고 설계하는 것이 필요.
2. 공간Space
- 움직임은 아주 미세한 단위라고 해도 일정한 공간에서 일어남
- 모니터나 스크린에서 3차원 공간을 잘 활용해야 함
- 인터랙션은 물리적 공간이나 디지털 공간을 넘나들면서 존재함
- 예를 들어 스피커로 흘러나오는 음악(물리적 공간) / 3D(디지털 공간) 등
3. 시간Time
- 모든 인터랙션은 공간에서 시간을 들여 일어나며 공간을 이동하는 데 시간이 걸림
- 사용자가 서비스와 상호작용을 할 때 항상 시간이 걸림
- 인터랙션을 사용하여 최대한 사용자들에게 지연되는 느낌이 들지 않도록 디자인을 고려해야 함
- 예를 들어, 화면 로딩 시간이 오래 걸린다면 프로그래스바progress bar를 보여주면서 시간 흐름을 알려줌.
4. 외관Appearance
- 외관이란 해당 제품, 서비스가 어떻게 인터랙션을 할 수 있는지 사용자에게 힌트를 줌
- 외관을 구성할 때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, 인터랙션을 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함
- 외관을 구성하는 특징은 균형 / 무게 / 구성 / 컬러 및 색조 / 크기 / 색상 명도 / 형태 등이 있음
5. 질감Texture
- 질감은 사용자에게 감성을 함께 전달하는 요소
- 진동이나 온도 같은 다양한 질감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
- 예를 들어 핸드폰 진동으로 메시지 알림을 하는 것
6. 소리Sound
- 인터랙션의 전체 부분에서 차지하는 영역은 작지만 중요한 부분임
- 소리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 가능함
- 음높이, 높낮이pitch, 크기volume, 음색 혹은 음질timber or tone quality
[인터랙션 디자인 접근 방법]
1. 시스템 중심 디자인
-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 구조에 맞추어 디자인
2. 기능 중심 디자인
- 시스템에 요청되는 기능의 구현에 집중
3. 사용자 중심 디자인
- 디자인의 전 과정에 사용자를 참여시켜서 검증 수행
- 시스템, 기능,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사용자 중심으로 이동하게 되며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형태로 디자인
4. 목표 지향 디자인
- 사용자의 목표를 찾고 그것을 중심으로 디자인
- 사용자의 목표에 집중하여 디자인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목표를 찾고 가상의 사용자를 이용하여 구체화
5. 직관적 디자인
- 디자이너의 직관과 통찰력을 통해 새로운 제품을 디저인
- 애플의 디자인이 대표적인 예시
6. 천재적 디자인
- 디자이너 개인의 뛰어난 능력에 기반한 디자인
- 체게적인 다른 방법론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디자이너가 생각한 방법으로 디자인하는 방법
7. 연구 중심 디자인
- 인간과 기계의 특성을 연구하고 연구에 기반하여 디자인
- 사람과 기기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접근하는 방식으로 다른 디자인 방법과 혼용하여 사용
[인터랙션 디자인 원칙]
1. 가시성 : 기능을 만들 때 사용자의 눈에 띄어야 함
2. 피드백 : 사용자의 행동 후 일어난 변화를 적절히 피드백
3. 제한요소 : 특정 상황에서 사용자의 행동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 / 미리 오류를 방지하게 위해 이용방법을 제한
4. 맵핑 : 사용자가 특별한 설명이나 도움 없이도 대상의 기능을 쉽게 떠올릴 수 있어야 함
[인터랙션 디자인 원칙]
1. 일관성 Consistency : 적용된 디자인은 일정한 패턴, 예측 가능한 일관성을 지님 / 사용자가 쉽게 회상할 수 있어야 함
2. 행동 유도성 Attention : 사용자에게 기대하는 행위가 자연스럽게 인지, 유도되며, 일어날 수 있도록 디자인
'UX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고객 여정 지도 Customer Journey Map (0) | 2022.11.10 |
---|---|
프로토타입 (0) | 2022.11.07 |
스토리보드 (0) | 2022.11.04 |
UX 개념 / 특징 / 목표 / 관점 / 범위 / 중요성 / 요소 (0) | 2022.11.01 |
디자인 스프린트 (0) | 2022.11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