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API : 다른 앱의 기능이나 데이터를 가져다 쓸 수 있게 해주는 코드를 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, 줄여서 API라고 부른다. 즉, API는 앱들 사이의 통신 수단이다.
* API는 기능에 따라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.
- 기능 API : 경로 계산, 문자메시지 전송, 문장 번역 같은 작업을 전문적인 앱에 맡길 수 있게 한다.
- 데이터 API : 다른 앱으로부터 스포츠 경기 점수, 최신 트윗tweet, 오늘의 날씨 등 흥미로운 정보를 넘겨받을 수 있게 한다.
- 하드웨어 API : 기기의 고유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. 예를 들어 인스타그램은 휴대폰의 카메라 API를 통해 줌, 초점, 촬영 기능을 빌려 쓴다. 운동 앱은 휴대폰에 탑재된 가속도계와 자이로스코프라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빨리 움직이고 있는지 감지한다.
* API를 활용하면 앱 개발이 한층 수월해지지만 앱이 API에 종속된다. 예를 들어 메일 전송 API가 다운되면 그 API를 쓰는 모든 앱이 메일을 전송할 수 없게 된다.
* 어떤 앱이든 페이스북 통합인증 API인 SSO(single sign-on)를 쓰면 사용자가 페이스북 프로필을 연동시켜서 계정을 만들 수 있다.
* 틴더는 왜 페이스북으로 로그인하라고 할까?
- 첫째, 페이스북에서 기본 정보를 가져옴으로써 텅 빈 프로필이 만들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.
- 둘째, 페이스북이 이미 봇과 허위 계정을 막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에 관련된 수고를 덜 수 있기 때문이다.
- 셋째, 매칭 성공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. 페이스북친구 목록을 분석해서 상대방과 공통으로 아는 친구가 몇 명인지 보여주면 일종의 유대감이 생기면서 서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진다.
- 넷째, 모든 사용자의 페이스북 프로필을 확보함으로써 그들의 연령대, 거주 지역, 관심사 등 고급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. 이를 근거로 틴더는 앱 디자인이나 광고 전략을 개선할 수 있다.
* 페이스북은 왜 타사 앱에서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API를 제공할까? 사용자가 페이스북 통합인증 API로 틴더에 가입하면 페이스북은 그 사람이 틴더를 사용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. 사용자가 그 밖의 사이트에서 페이스북으로 로그인할 때도 마찬가지다. 이런 데이터가 쌓이면 페이스북은 더 효과적인 타깃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.
* API를 공유하는 것은 기업이 데이터를 확보하는 좋은 수단이 된다. 하지만 API를 사용하면 앱 개발 시간이 단축되고 더 좋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대신 위험도 따른다.
출처 - IT 좀 아는 사람